삼국시대

[이어령의 삼국유사 이야기]우리 민족의 신화를 이해하는 방법

말배우는아저씨 2013. 6. 2. 11:55

 


이어령의 삼국유사 이야기

저자
이어령 지음
출판사
서정시학 | 2006-12-27 출간
카테고리
역사/문화
책소개
이어령의 신화담론서 이어령의 삼국유사 이야기1960년대 이후 이...
가격비교

 

 

이어령교수의 삼국유사 이야기를 읽었다.

그 이후로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을 설명하는 책이라는 것을 알았다.

단지 황당무계한 신화나 상상력의 산물이 아님을 깨달았다.

이제 나는 우리 선조들이 무엇을 이야기하려고 했는지를 알게 되었다.

 

한 사람이 책을 읽기 전후로 다른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내가 이 책을 읽고 난 후로 그동안 보지 못했던 것을 보게 되었고, 알지 못했던 것을 깨닫게 되었다.

 

삼국유사를 몇번에 걸쳐 다양한 버전으로 읽었다. 하지만 그 이야기가 너무도 황당하고 스케일이 크고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를 모른 채 그저 우리 민족의 이야기라서 읽었다.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없었지만 내 이해능력으로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누군가가 내 눈을 뜨게 해 주어야 했다. 그런 도움을 이어령선생으로부터 지금에서야 받았다.

 

단군신화가 안내하는 우리 민족과 국가의 시작, 바로 화합의 장으로 시작된 첫 나라의 의미로부터 시작하는 이야기는 내게 충격이었다. 나 혼자만 몰랐을까 싶은 부끄러움도 있었다. 진작에 알았어야 할 우리의 시작이었는데. 먼저 있던 자를 죽여야만 하는 서양의 시작과는 달리 하늘과 땅의 조화로 인간세상에서 나라를 시작했던 조상들의 생각이 멋있다.

 

마지막에 설명된 처용의 이야기는 내 지식이 짧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이야기의 구조와 내용을 함께 엮어 설명하는 것에서 또 한번 강렬한 깨달음이 있었다.

아! 이런 것도 있구나.

 

삼국유사가 지금껏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사라지지 않고 살아 있음으로 해서 지금 내가 얻은 지식과 지혜를 전해 받을 수 있어서 감사한 일이다.

 

<목차>

머리말_ 이어령
한번 끝낸 작품은 다시 돌아다보지 않는다

신화의 거울
신화의 거울보기 | 사막의 땅 속에서 꿈꾸는 꽃씨 | 단군 신화의 공간 의미 | 신화 공간은 계량 불가능 공간 | 밝은 땅 아사달에서 만난 빛과 흙 | 우주나무 신단수에서 생긴 일 | 그들은 왜 인간되기를 소원했나? | 땅 대표 곰의 인간되기 | 곰은 한국인마음의 기호 | 쑥·마늘·어둠으로 쟁취한 인간의 아침

영원한 한국인의 정체, 그 경계읽기
인간되기 | 잇자국과 칼자국 | 영웅생각의 차이 | 불멸의 현자, 처용 | 지모의 승부사, 서동 | 영재와 60인의 도둑들 | 서리를 이기는 잣나무의 기상, 기파랑

신화에 숨겨진 생성의 비밀
신화 속의 성 | 신성부부의 혼례교향악 | 음양의 혼례변증법 | 목욕 형벌의 의미

영원한 한국여인의 아름다움과 질김
거울의 밖에 남은 앵두 | 연못 노인이 바친 암호편지 | 돌이 된 여인의 불망기 | 수로부인과 헌화사건

인간과 자연의 감통
감통의 세계 | 김현과 암호랑이의 탑돌이 | 용왕의 딸을 가슴에 꽂고 돌아온 거타지 | 나무들과 대화하던 포산은자들 | 달이 등불 켜고, 별이 하늘길 쓸고 | 분노를 뒤엎는 웃음소리 | 자연의 비의를 꿰뚫는 예지

죽음과 생에 대해 생각한 방식
생멸의 역설로 노래한 달 | 달로 돌아가 살고 싶었던 사람의 노래 | 달을 부르며 기다리던 여인의 노래 | 죽은 누이와의 만남을 위한 노래 | 두 현실에 동시 공존한 신라의 지킬과 하이드 | 꿈과 현실 두가지 생

지킴과 믿음의 문화코드
신라인의 종교코드 | 찾아간 죽음 | 사찰의 기능 | 신라를 지킨 신령들 | 산수의 발견 | 물의 상상력과 용 상징 | 대나무의 문화코드 | 만파식적과 물의 문화코드 | 죽엽군, 불의 문화코드 | 충절의 초인, 김제상

천년 혈맥에 흐르는 생명질서
진정의 출가 | 공식대로 살다 간 효행자들

우주적 언술로서의 <처용가>
언술이라는 말 | 처용설화의 언술 | 놀이의 언술 | 춤과 노래의 반복구조 | 방해자가 조력자가 되는 구조 | 그레마스의 행위자 모델, 처용 설화 | 우주론적 언술의 모델

뒷풀이_ 대담자
한국의 문화에너지로 재생산한 삼국유사 담론의 총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