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삼국유사라는 간략화된 책을 먼저 읽고나서 한길 그레이트북스의 삼국유사를 읽었다. 짧지 않은 책이라 읽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기도 했다.
가장 먼저 나오는 왕력은 표로 되어 있는데, 읽기에 쉽지 않기도 하고 이미 삼국사기에서 나라별로 읽은 것을 핑계로 그냥 넘어갔다. 다만 중국과 가야가 함께 기록되어 있어서 서로의 시간을 비교하는데에는 더 편리하게 살펴볼 수 있어서 좋다.
뒤이어 나오는 것이 바로 그 유명한 '단군왕검'에 대한 이야기와 고조선에 대한 이야기이다. 삼국사기에는 없는 기록이 여기에 실려 있음을 대부분이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정작 읽어본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고조선의 이야기와 함께 여러 나라의 처음과 시조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서 신라의 몇몇 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삼국사기와는 달리 각 이야기들은 시대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중심 인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여러 왕을 뛰어 넘기도 하고,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기도 하면서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사실 좀 어지러운 느낌이 들기도 한다.
뒤쪽으로 가면서 본격적으로 불교에 관한 이야기를 접하게 되면, 시간의 개념을 잡기가 더 힘들어진다. 불교에서 이야기 하는 엄청난 시간의 간격과 그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는 주인공들의 능력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의 개념과는 분명히 다른 것이기에 분석하기보다는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유연함을 발휘해야 읽는 사람에게 편할 것이다.
삼국유사를 다 읽었다는 데 보람이 있긴 하지만, 다 읽고 나서 내게 어떤 의미를 남기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기이하고 신통한 이야기들을 많이 접한 느낌이긴 한데, 나 개인이 찾아야 할 뜻과 교훈은 좀 더 역사를 공부한 뒤에 찾아야 할 듯 하다.
<목차>
불교적 상상력으로 편찬한 「삼국유사」| 허경진
권제 1
[제1 왕력]
[제2 기이 상 -기이한 이야기를 기록하다]
머리말
고조선: 단군신화
위만조선
마한
2부
72국
낙랑국
북대방
남대방
말갈과 발해
이서국
5가야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변한과 백제
진한
신라 시조 혁거세왕
제2대 남해왕
제3대 노례왕
제4대 탈해왕
김알지
연오랑과 세오녀
미추왕과 죽엽군
내물왕과 김제상
제18대 실성왕
거문고 갑을 쏘아라
지철로왕
진흥왕
도화녀와 비형랑
천사옥대
선덕왕이 세 가지 일을 미리 알다
진덕왕
김유신
태종 춘추공
장춘랑과 파랑
권제 2
[제2 기이 하-기이한 이야기를 기록하다]
문무왕 김법민
만파식적
효소왕 시대 죽지랑
성덕왕
수로부인
효성왕
경덕왕.충담사.표훈대덕
혜공왕
원성대왕
이른 눈
흥덕왕과 앵무새
신무대왕과 염장.궁파
48대 경문대왕-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처용랑과 망해사
진성여대왕과 거타지
효공왕
경명왕
경애왕
김부대왕
남부여.전백제.북부여
무왕
후백제와 견훤
가락국기
권제 3
[제3 흥법- 불법을 일으킨 이야기]
순도가 고구려에 처음 불교를 일으키다
마라난타가 백제에 불교를 열다
아도가 신라에 불교의 터전을 마련하다
원종이 불법을 일으키고 염촉이 순교하다
법왕이 살생을 금하다
보장왕이 도교를 믿자 보덕화상이 암자를 옮기다
동경 흥륜사 금당에 모신 10명의 성인
[제4 탑상- 탑과 불상을 만든 이야기]
가섭불이 좌선하던 돌
요동성의 육왕탑
금관성의 파사석탑
고구려의 영탑사
황룡사의 장륙존상
황룡사의 9층탑
황룡사의 종과 분황사의 약사여래상과 봉덕사의 종
영묘사의 장륙존상
사불산.굴불산.만불산
생의사의 돌미륵
흥륜사의 보현보살상 벽화
세 곳에 나타난 관음상과 중생사
백률사
민장사
전후에 가지고 온 사리
미륵선화.미시랑.진자 스님
남백월의 두 성인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분황사의 천수관음이 눈먼 아이의 눈을 뜨게 하다
낙산사의 두 보살인 관음.정취와 조신
어산에 있는 부처의 그림자
오대산에 있는 5만 진신
명주 오대산 보천태자의 전기
오대산 월정사의 다섯 성중
남월산
천룡사
무장사의 미타전
백엄사의 석탑 사리
영취사
유덕사
오대산 문수사 석탑기
권제 4
[제5 의해- 의리와 해석에 대한 이야기]
원광법사가 서쪽으로 유학가다
보양법사와 배나무
양지가 석장을 부리다
천축으로 간 여러 법사들
혜숙과 혜공이 갖가지 모습을 나타내다
자장이 계율을 정하다
원효가 구속을 받지 않다
의상이 화엄종을 전해오다
사복이 말하지 않다
진표대사가 간자를 전하다
관동 풍악산 발연수 비석의 기록
승전이 돌들에게 강연하다
심지가 진표조사의 뒤를 잇다
유가종의 대현과 화엄종의 법해
권제 5
[제6 신주- 밀교의 신통한 주문]
밀본법사가 요사한 귀신을 물리쳤다
혜통이 용을 항복시키다
명랑법사의 신인종
[제7 감통- 감응한 이야기]
선도산 성모가 불사를 좋아하다
여종 욱면이 염불하다가 서쪽 하늘로 올라가다
광덕과 엄장
경흥이 문수보살을 만나다
진신 석가모니가 공양을 받다
월명사의 「도솔가」
선율이 환생하다
김현이 호랑이를 감동시키다
융천사의 「혜성가」
정수사가 얼어 죽게 된 여자를 구하다
[제8 피은- 세상을 피해 숨어 산 이야기]
낭지가 구름을 탄 이적과 보현보살 나무
연회가 명예를 피해 달아나다가 고개에서 문수보살을 만나다
혜현이 고요한 곳을 구하다
신충이 관을 걸어두고 벼슬을 버리다
포산의 두 성사
영재가 도적을 만나다
물계자
영여사
포천산의 다섯 비구
염불사
[제9 효선- 효도와 착한 행실 이야기]
진정 스님의 효도와 착한 행실이 모두 아름답다
김대성이 전세와 현세의 두 세상 부모에게 효도하다
향득 사지가 다리의 살을 베어 어버이를 봉양하다
손순이 아이를 묻다
가난한 여인이 어머니를 봉양하다
발문
삼국유사 원문
부록
-고구려 전성시대도
-백제 전성시대도
-신라 전성시대도
-고구려 관직제도
-백제의 관등과 복색
-신라의 골품제도
-신라의 9주 5소경
-신라시대의 불교
-후삼국시대의 강역도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삼국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부식과 일연은 왜] 왜 이런 이야기들을 실었을까? (0) | 2013.04.21 |
---|---|
[신화 리더십을 말하다] 삼국유사를 이렇게도 읽을 수 있구나 (0) | 2013.04.15 |
[삼국유사] 청소년을 위한 삼국유사 (0) | 2013.03.17 |
[삼국사기2] 백제의 역사와 열전 (0) | 2013.03.09 |
[삼국사기 인식론] 삼국사기를 조금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0) | 2013.03.03 |